후원회원
가입하기

활동소식




감시·대안·참여·연대를 지향합니다.

사업활동

  • [한라일보] [르포/국내 해군기지를 가다] 평택 해군2함대
    2006-10-24  |  제주참여환경연대
    ▲ 경기도 남부지역인 평택항내에 위치한 해군 2함대 모습. 군인·가족 7천여명… 포승면 전체 40% 지역사회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제주도 해군기지 영향분석 태스크포스(T/F)팀과 본보를 비롯한 기자단 등 18명은 국내 해군기지가 ...
    자세히 보기
  • 행정·주민-해군 갈등 겪고 이전
    2006-10-24  |  제주참여환경연대
    해군 3함대는 지난 6월부터 부산항 감만동에서 부산시 남구 용호동으로 이전중이다. 3함대는 해군 기동함대의 전진기지로 제주도와 경상도, 전라도 해역방어와 부산, 울산, 제주항 등의 주요항만 방호와 ...
    자세히 보기
  • 개발제약 여파 '발전 정체'
    2006-10-24  |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해군기지 추진 논란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6∼19일 후보지로 거론되는 안덕과 위미 두 지역 대책위와 제주도대책위가 해군기지가 들어선 진해, 부산, 동해, 평택 4곳에 대한 공동조사를 벌였다. 해군이 주장하는 ...
    자세히 보기
  • 해군기지 유치도시 '단 한 곳도 없었다'
    2006-10-24  |  제주참여환경연대
    한미FTA에 이어 해군기지 추진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지난 16~19일 제주도 해군기지 예정지로 거론된 서귀포시 안덕.위미 주민을 포함한 군사기지반대 제주도대책위원회와 함께 해군기지가 들어선 진해, 부산, 동해, 평택 4곳을 직접 둘러봤다. 나흘간의 빡빡한 일정으로 군 ...
    자세히 보기
  • NO! FTA, 환경 주권 사수!!
    2006-10-24  |  제주참여환경연대
    「한미 FTA반대 한미 환경단체 공동선언문 발표」 「한미 FTA 환경대책위원회(이하 ‘환경대책위’)」는 오는 24일 오전 10시 30분, 천제연 폭포 입구 천제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과 미국의 환경단체가 공동으로 작성한 선언문을 발표했다. 환경대책위에 참여하고 있는 ...
    자세히 보기
  • 분노와 진실의 노래를 부르다
    2006-10-23  |  제주참여환경연대
    ▲ 협상단이 도착하는 비내리는 일요일 오후. 평화로에서 FTA를 반대하는 피켓 시위가 있었다. ▲ 내리는 비에 젖어서 찢어진 피켓. FTA협상이 피켓 처럼갈기갈기 찢어지기를 희망해 본다. ...
    자세히 보기
  • [제민일보] "북 핵실험은 제주 화약고 전략 보여주는 것"
    2006-10-11  |  제주참여환경연대
    ▲ 제주도내 3개 해군기지반대 대책위가 11일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해군기지추진관련 최근동향에 대해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김대생 기자> 도내 군사기지 반대 3개 대책위가 “북한 핵실험 실시 파문은 제주도가 동아시아의 화약고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
    자세히 보기
  • [제주의 소리] "군사기지 아닌 평화·발전 원합니다"
    2006-10-11  |  제주참여환경연대
    ▲ 안덕, 위미2리,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해군기지 반대 3개 대책위가 11일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TF해체와 새로운 발전대안에 대한 전향적인 논의를 제주도 당국에 요구했다.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 ...
    자세히 보기
  • 차며통신(축구모임소식)3
    2006-09-28  |  제주참여환경연대
    나 나이를 거슬러 질주하리라.내 나를 옥죄는 모든 억압을 뚫고 솟구치리라.그리고 닫혀있는 그대들의 따뜻한 가슴속으로나의 불같은 사랑을 쏘리라. 연동기대회개최요강은 이렇습니다.일시 : 2006.10.28.- 29.(10월 마지막주 토,일요일)장소 : 중앙중학교 운동장(신제주)참가자격 : 제주시내에 활동하고 ...
    자세히 보기
  • 지역사회복지학교 개최
    2006-09-28  |  제주참여환경연대
    2006 지역사회복지학교 ‘복지브랜드 만들기’ 참가자 모집 제주지역에서는 동일한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기관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관들 사이에서는 자신만의 고유한 브랜드와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사회의 사회복지현장 활동가들을 모시고 복지브랜드 만들기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