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활동소식
사업활동
회원활동
연대활동
정보공개청구
참여&소통
공지사항
회원게시판
참여캠페인
소식지
자료실
도서자료목록
일반자료실
동영상 자료실
교육문화카페 자람
자람안내
대관신청
찾아오시는 길
후원회원 가입
arrow_forward
후원회원
가입하기
참여&소통
"여럿이 함께 숲이되자"
함께해 주세요. 당신이 바로 길입니다.
공지사항
회원게시판
참여캠페인
소식지
회원게시판
제목
작성자
이메일
비밀번호
인증코드
3eca
박스 안의 인증 번호를 입력하세요.
첨부파일
+
최대
1
개 까지 가능합니다. 최대용량은
5M
입니다.
<img alt="" src="http://www.kofic.or.kr/kofic/uploadFile/ckeditor/images/ddd.jpg"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 middle; color: rgb(108, 108, 108); font-family: Dotum, verdana, Arial, sans-seri; font-size: 12px; height: 1484px; width: 700px;"/><br /><br /><span style="color: rgb(108, 108, 108); font-family: Dotum, verdana, Arial, sans-seri; font-size: 12px;"><strong>제4회 << 독립영화, 시(詩)봤다! >> </strong><br /><br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의 핵인 ‘다시·세운 프로젝트’, 그 2017년도 기획공모사업 중 하나로 선정된<br /><br />문화법인 목선재의 “독립영화, 시(詩)봤다!”, 이의 제4회 행사를 안내해 드립니다.<br /><br />▪ 프로그램 개요<br /><br />제4회 독립영화, 시(詩)봤다!<br /><br />작품 | 『웅이 이야기』 (이하송 감독) & 『지구만큼 슬펐다고 한다』 (신철규 시집)<br />찬조 | 『염』 (최정열 감독) / 『소설가의 밤』 (황길모 감독)<br />진행 | ‘다시·세운 독립영화나이트’ 상영회 plus ‘시(詩)네토크’<br /><br />출연: 이하송 감독 / 신철규 시인<br />사회: 윤중목 시인, 영화평론가<br /><br />일시 | 2017년 12월 16일 (토) 오후 3시 ~<br />장소 | 세운베이스먼트<br />청계천로 159, 세운상가 지하1층<br /><br />주최 | 서울특별시<br />주관 | 문화법인 목선재<br />후원 | 독립영화협의회·영화공동체·서울역사영화제 준비위원회<br />문의 | 선착순 50명 무료입장 02-2266-2296</span><br /><br /><span style="color: rgb(108, 108, 108); font-family: Dotum, verdana, Arial, sans-seri; font-size: 12px;">■ 프로그램 기획내용</span><br /><br /><span style="color: rgb(108, 108, 108); font-family: Dotum, verdana, Arial, sans-seri; font-size: 12px;">영화와 시의 만남, 그리고 감독과 시인의 만남!</span><br /><br /><span style="color: rgb(108, 108, 108); font-family: Dotum, verdana, Arial, sans-seri; font-size: 12px;">그런데 ‘독립영화, 시(詩)봤다!’는 거기에 더하여, 누구보다도 감성적인 촉수를 지닌 시인을 초대해서 방금 전 상영된 영화에 대한 그의 감상을 감독과 평론가와 관객들과 다 같이 나눕니다. 아울러 주제나 소재에서든, 정서나 감성에서든 그 영화와 깊이 호응하는 시인의 자작시를 골라서 소개와 낭송을 하여줍니다. 그리고 감독 역시도 자신이 보기에 영화와 분명 호응하는 시인의 시집 속 시 하나를 낭송하게 됩니다.</span><br /><br /><span style="color: rgb(108, 108, 108); font-family: Dotum, verdana, Arial, sans-seri; font-size: 12px;">그러한 후, 감독과 시인이 본격적으로 대담을 주고받으며 영화와 시 두 개별 장르의 해당작이 어떤 면에서 또한 어떤 식으로 과연 호응하는가, 서로의 작품관을 관객들에게 솔직하고 자유롭게 풀어놓습니다. 그래서 일명 ‘시(詩)네토크’가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본 프로그램 최고의 소비주체인 관객들께서 영화와 문학 둘 다를 아주 밀착하여 한 자리에서 맛보게 되는 대단히 독보적이고도 고급의 복합문화체험이자 복합문화향연입니다.</span><br><br>============= 답 변 ===============<br><b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