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활동소식
사업활동
회원활동
연대활동
정보공개청구
참여&소통
공지사항
회원게시판
참여캠페인
소식지
자료실
도서자료목록
일반자료실
동영상 자료실
교육문화카페 자람
자람안내
대관신청
찾아오시는 길
후원회원 가입
arrow_forward
후원회원
가입하기
참여&소통
"여럿이 함께 숲이되자"
함께해 주세요. 당신이 바로 길입니다.
공지사항
회원게시판
참여캠페인
소식지
회원게시판
제목
작성자
이메일
비밀번호
인증코드
e203
박스 안의 인증 번호를 입력하세요.
첨부파일
+
최대
1
개 까지 가능합니다. 최대용량은
5M
입니다.
<STRONG>눈 먼 리더의 도시<BR></STRONG><BR><BR>김아현 (제주참여환경연대 정책국장)<BR><BR><BR>주제 사라마구의 소설 '눈 먼 자들의 도시'가 그리는 풍경은 암울하고 충격적이다. 어느날 갑자기, 단 한 사람을 제외하고 모두가 시력을 잃어버리는 사태가 발생한다. <BR><BR>인간의 오감(五感)중에서도 시각(視覺)에 거의 절대적으로 의존하여 존재하는 것이 소위 현대문명일 터, 시력을 잃어버린 인간사회는 말 그대로 아수라장이 된다. 그 와중에 긍정적인 면이라면 시각적 인지에서 비롯한 편견과 차별이 사라졌다는 것 정도가 되겠다.<BR><BR>생존에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은 경쟁과 본능인 사회, 문명인으로서의 자존감을 어느 만큼 빨리 포기하느냐가 얼마나 오래 살아갈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공간이 된 것이다.<BR><BR>그러나 눈 먼 자들의 생존을 책임지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다른 데 있다. 선천적 시각장애인으로 태어난 까닭에 갑작스레 눈이 멀어버린 자들을 이끌 수 있는 사람, 혹은 이 비극적 사태에서 눈이 멀지 않은 단 한 사람의 존재가 그것이다. <BR><BR>눈 먼 자들은 이 '리더'들을 따름으로써 생존을 보장받거나 혹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지킬 기회를 제공받는다. '리더' 개인의 도덕성은 눈 먼 자들의 사회가 인간성을 지킬 수 있는지, 그리하여 결국 해피앤딩으로 귀결할 수 있는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BR><BR>반면 그의 또다른 소설 '눈 뜬 자들의 도시'는 어느 날 갑자기 모든 사람들이 눈을 뜨게 되는 사태로부터 시작된다. 여기서 말하는 눈을 뜬다는 행위는 무언가 자각하고 표출하는, 지성의 발현을 말한다. <BR><BR>'눈 뜬 자들의 도시'는 집단지성의 등장에 대해 권력이 반응하는 방식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권력은 대중이 똑똑해지는 것, 더 많이 알게 되는 것, 자신의 행동을 지켜보는 것을 원치 않는다. <BR><BR>OECD 가입국가 가운데 우리나라의 문서해독률이 거의 꼴찌 수준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문서해독능력비교는 봉급명세서, 대중교통시간표, 지도 등 일상적인 문서를 이해해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을 비교한 것으로 보다 실질적인 문맹률로 간주된다. 이 비교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어려운 내용의 문서를 읽고 이해해 자신의 언어로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은 2.4%에 불과하다. 참고로 노르웨이는 이 비율이 29.4%에 달하고, 우리보다 문맹률이 높은 미국조차도 19%에 이른다. 한국은 읽을 줄 알되 이해할 수 없고 눈을 떴으나 눈 먼 자들의 나라다. 이는 우리의 주입과 암기 위주의 입시교육이 낳은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BR><BR>권력을 가진 이들은 똑똑한 민중을 원치 않는다. 많은 이들이 주입식 교육정책을 비판하고 우리 교육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전환하기를 바라지만, 권력의 입장에서 이는 무서운 결과로 귀결된다. <BR><BR>눈 먼 자들의 세상에서 소수의 눈 뜬 사람으로 살아가야만 리더로서의 권력을 보장받기 때문이다. 국가와 행정의 많은 정보들이 국민에게 공개되지 못하고, 지방의회를 출입하는 데도 출입증을 발급받아야 하는 웃지 못할 사례들 역시 어쩌면 이 공포에서 기인한다.<BR><BR>그런데 정말 무서운 상황은 리더조차 눈 먼 사람들일 때 생겨난다. 가난한 아이들이 먹는 1460원짜리 끼니를 본 적 없는 리더를 가진 사회는 비극적이다. 오름의 곡선과 출렁이는 갈대밭을 보지 못하고 몇 개의 수치로 드러나는 국제회의 유치 실적만 읽을 줄 아는 리더를 가진 제주사회는 또 어떠한가.<BR><BR>* 한라일보 11. 20일자 NGO칼럼에 실린 내용입니다.<br><br>============= 답 변 ===============<br><b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