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
가입하기

활동소식




감시·대안·참여·연대를 지향합니다.

다시, '마을'을 생각한다










































2010.04.18 (Sunday)




















01.




















스스로를 돌아보며...


    지난 주부터 조그맣게 협동조합 공부모임을 시작했습니다. 정작 ‘협동’이란 게 무슨 말인지 제대로 알지도 못한 주제에 조합원이랍시고 잘도 허대며 다닌 것 같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여간 개운치 않던 터. 작정하고 아는 몇몇을 조르고 졸라 벌인 일입니다.
 그러고선 맨 처음 같이 읽은 게 ‘마을이 보인다 사람이 보인다‘(모심과 살림연구소). 작고하신 황주석선생님의 저서입니다. 왠지 모르지만 예전에 혼자 건성으로 지나칠 때완 다르게 책장이 전처럼 그냥 쉽게 넘길 수가 없습니다. 구절 구절마다 대목 대목마다 제 눈길을, 제 가슴을 놓아주질 않습니다.  

 “알묘조장(苗助長)이란 말이 있습니다. 어느 농사꾼이 옆 집 논을 보니 자기 묘보다 한 뼘은 더 자라 있었습니다. 화가 나서 자기 묘를 뽑아 키를 키워놓았습니다. 며칠 모가 뽑힌 묘들은 모두 쓰러져 죽어버렸습니다.…(중략)…앞서가는 것을 너무 좋아하지 말아야 합니다.…(중략)…새로운 운동의 실패는 그 지향가치가 열등하거나 열정이 부족한 경우보다, 그 가치를 이용하려는 기득권 세력의 손짓과 더 빨리 성과를 이루려는 운동주체의 조급성 때문에 빚어진다는 것을 늘 인식해야 합니다.”

 정말 제게 그런 조급함은 없었나 돌아봅니다.

 “먼저 마을을 한 바퀴 돌아봅니다. 문제투성이입니다. …(중략)…이슈가 보입니다. 일이 보입니다. 마음이 아파옵니다. 누구와 함께 이 일을 해결해야 할까요. ‘주민과 함께’라는 답을 찾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먹고사느라, 아이들 챙기느라 너나없이 바쁩니다. 한 푼 더 버는 데만 관심이 있을 뿐입니다. 불행하게도 주민이 현실운동의 대안은 못되는 것 같습니다. 골치가 아파옵니다. 이럴 때, 아주 좋은 이론이 떠오릅니다. ‘창조적 소수론’. 어떤 사회든 10%, 아니 5%의 소수가 그 사회를 이끌고 가는 것입니다. 이 모든 가치를 모르는 주민들과 언제 이 모든 일을 할 수 있을까요?…(중략)…창조적 소수의 신화에 갇히면 우리는 이미 그 ‘어떤 분’이 되려고 합니다. 그들은 수혜자요 나는 기부자가 됩니다. 그들은 고객이요 나는 전문가이며, 그들은 멤버가 되고 나는 리더가 됩니다. 그래서 대중은 사라지고 운동은 독점됩니다.”

 무엇보다 앞만 보고 달려왔던 저를 꾸짖는 것 같습니다.
 어느샌가 저도 모르게 그런 신화에 갇혀 있진 않았나 걱정이 앞섭니다.




















02.




















 ‘지방은 마을이 있는 만큼만 자치를 회복하고 실천한다!’


  본디 마을은 자치적인 공동체였습니다. 서로 잘 알고, 돕고, 같이 기뻐하며 아파하는 한 식구들이었습니다. 한솥밥 먹는 사람들처럼 생산과 소비가 함께 이루어지는 경제공동체로서 두레, 품앗이, 계 -제주에서는 수눌음 - 등으로 긴밀히 연결된 공동노동의 터전이었습니다. 예전의 마을은 중앙의 통치를 받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지역의 관습과 풍속이 살아 있고 상당한 자치가 시행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마을을 잃어버렸습니다. 지도나 행정단위에도 마을은 없습니다. 중년을 넘어선 사람들조차 마을에서 자란 경험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회색빛 신도시들 속 아파트에서나 허울좋은 마을이름이 붙여질 따름입니다.
그만큼 우리에겐 자치의 영역도 아주 협소합니다. 자치의 정신과 이를 구현할 기술, 즉 자치의 능력은 더더구나 부족합니다. 우리 사회의 자치능력을 생각해 보면 어쩌면 절망에 가까운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마을을 잃어버린 만큼, 대중들의 자치에 관한 유전인자가 위축되고, 변형되고, 제거되어 버린 건 아닐까요? 그 많은 주민자치센터나 학교운영위원회 중에서 몇 개나 만족스럽게 운영할 여력을 가지고 있습니까? 단체장은 고사하고 그 많은 의원 중 몇이나 우리의 진정한 대표로 일하고 있습니까?  
 겉치레에 불과한 지방자치가 실질적인 주민자치와 바르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지역에 건강한 공동체, 곧 마을이 회복되어야 합니다. 지방은 마을이 있는 만큼만 자치를 회복하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마을에 대한 갈망은 인간 본성에 뿌리내린 공동체에 대한 욕구입니다. 그만큼 원초적입니다. 자치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로서, 행복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많은 것들이 마을 안에 살아 있습니다. 바로 그 공동체성이 우리 활동의 배경이자 대안입니다.…(중략)…우리는 이제 마을의 새로운 모습에 주목하려 합니다. 옛 농경사회로 복귀할 수 없는 한, 옛 형태의 마을을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별 의미도 없습니다. 공동체를 지향하는 본성의 이끌림과 옛 마을 공동체의 가르침에 따라 새로운 공동체, 새로운 형태의 마을을 지금 우리는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마을의 재창조입니다.”  

  ‘허공을 날아 큰 세상을 가득 채우고 싶은 민들레의 마음’처럼 우리 땅에 마을이 가득하고 자치가 넘쳐났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희망을 꿈꾸어 봅니다.  




















 꿈꾸는 세상
                                            장사익

높고 파란 하늘 푸른 날개 달고 아름다운세상 날고 싶어요
높고 파란 하늘 푸른날개 달고 아름다운세상 날고 싶어요
베풀며 나누는 따스한 세상 맑은물 흐르고 푸른산 들높은
그런세상 꿈을 꾸며 날고 싶어요 날고 싶어요


높고 파란 하늘 푸른 날개달고 아름다운 세상 날고 싶어요
높고 파란 하늘 푸른 날개 달고 아름다운 세상 날고 싶어요
구름이 오면 구름을 타고 바람불면은 바람을 따라
멀리 멀리 높이 높이 날~고 싶어요 날~고 싶어요
*후렴)높고 파란 하늘 푸른날개 달고 아름다운 세상 날고 싶어요
야~야~야~날~고 싶어요~<



















  2010년 4월 18일 늦은 밤, 연동 집에서
강종우
010-5180-5858/kjowoo1216@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