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
정부가 지난 1989년부터 동북아 허브물류항으로 지정, 오는 2020년까지 1조4897억원을
투입하는 평택항은 포승공단과 7개 지방공단, 종합물류단지 등 588만평에 이른다. 평택항내에 위치한 해군 제2함대는 인천에서 지난 1999년
이전, 북한한계선부터 전라남·북도 경계까지 지키고 있다. 2함대는 해군이 계획한 제주전략기지의 10배에 이르는 120만평에 구축함과 초계함 등
전투함 50여척이 정박할 수 있다. 군인가족 등도 7000여명에 이른다.
src="http://www.jemin.com/news/photo/200610/160774_21860_172.jpg" border=1> | ||
▲ 해군 2함대내에 위치한 복지상가에 각종 편의시설들이 들어서있다 | ||
평택시엔 육·해·공군과 미군까지 들어서 있는 한국 국방력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해군 2함대와 접해 있는 포승면 원정리에는 2함대
이전으로 이주한 주민들이 살고 있다. 당시 200가구 정도가 강제이주 당하거나 보상비를 받고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중 원정7리엔
강제이주당한 사람들이 몰려 있다.
마을 놀이터와 접해 있는 군견훈련장에선 아침마다 들리는 군견들의 짖는 소리로 소음피해가 상당하다. 해군에선 소음방지벽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또 주변 군 사격장에서 들리는 소음까지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하소연한다.
원정6리엔 지난 여름 홍수에 2함대 경계철책선 바깥 언덕이 무너져 집이 흙더미에 전부 매몰되는 재산피해를 입었다. 피해주민은 경계철책선에
도로를 낸 것이 산사태의 원인이라고 주장했지만 해군측은 직접적 원인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결국 피해주민은 보상을 전혀 받지 못했고 새로 집을
짓고 있다.
서평택환경위원회 전명수 위원장은 “도로를 내며 물길을 만들지 않아 피해를 입었는데 해군이 책임이 없다면 최소한 주민이 납득할 조사라도 해야
하는데 그런 절차가 없었다”고 말했다.
△ “포승면 인구는 늘었는데…”
평택항의 대규모 산업단지와 2함대 이전으로 포승면 인구는 크게 늘었다. 조만간 포승읍으로 바뀐다고 한다. 포승면 중심가엔 다양한 상권이
형성돼 있었다.
해군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인들은 “전혀 없지는 않지만 대부분 산업단지 인구들에 의해 경기가 움직인다”며 “2함대 내에 각종 시설,
이를테면 골프장, 약국, 세탁소까지 있는 것으로 아는데 부대 밖에서 해결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한다.
또 다른 상인은 “여기 인구가 대부분 토박이가 아닌 유입인구다”며 “해군과 특별히 접할 기회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인터뷰/김인전 할머니] "해군 10년 넘게 약속 안지켜"
src="http://www.jemin.com/news/photo/200610/160774_21861_1715.jpg" border=1> | ||
2함대 경계철책선과 맞닿은 집이 언제 무너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주당시 집 축대가 위험해 보수를
해주겠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감감무소식이다. 축대엔 이미 해군 경계철책선의 도로로 토사가 유실돼 보기에도 아슬아슬한
상태였다.
김 할머니는 “농사짓던 땅 모두를 보상받았지만 택지개발한 집터 땅값 지불하니 남는 게 없었다. 모아둔
돈으로 집을 짓고 남의 논 빌려서 농사짓고 있다. 주변 군견장에서 훈련하는 개짖는 소리와 하수종말처리장 악취로 떠나고 싶지만 갈곳이
없다”고 말했다.
또 김 할머니는 “그때 2함대 들어오는 거 반대도 많이 했는데 군이 밀어붙이는데 어쩔 수 없었다. 대추리
사람들도 결국 우리와 똑같은 처지가 될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