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

감시·대안·참여·연대를 지향합니다.

  • '아이들의 천국' 스웨덴은 총점, 평균, 석차 없는 나라














  • '아이들의 천국' 스웨덴은 총점, 평균, 석차 없는 나라
    안승문 웁살라대학 객원연구원 "한국도 북유럽 모델 교육 개혁 절실"







    2009년 11월 13일 (금) 12:40:37 이미리 기자 miriism@nate.com






    최고의 복지국가로 손꼽히는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의 공통점은 ‘아이들이 행복하다’는 것. 핀란드를 비롯한 북유럽의 교육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돌아온 안승문 전스웨덴 웁살라대학 객원연구원은 우리나라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교육 개혁’이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지난 10일 오후 제주참여환경연대에서는 안 연구원을 초청 '우리교육 희망만들기를 위한 참여와 행동, 어디에서 시작할까?'를 주제로 한 강연을 진행했다.


    북유럽 교육시스템은 무상교육, 통합교육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무상 교육임에도 핀란드는 고등학생의 65%만이 대학에 간다. 안 연구원은 “대학에 가지 않는 나머지 35%도 물론 제대로 된 직업을 구할 수 있다. 월급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많이 버는 사람은 세금도 많이 내기 때문에 결국 비슷한 소득을 얻는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북유럽 아이들은 우리나라 아이들에 비해 제도나 시스템이 주는 고통없이 자라고 있다. 아이들의 천국이다”고 말하며 북유럽 학생들의 교육 환경을 설명했다.










       
    ▲ ⓒ제주의소리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다. 이것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핀란드 아이들은 우리나라 학생들의 3분의 1밖에 공부하지 않지만 학력수준은 우수하다. 이는 많이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초등학생의 작은 그릇에 중학교 걸 공부하고 특목고에 가라고 하며 많은 것을 집어넣으려고 한다.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가능하면 많이 담으려고 하는 것과 같다. 어릴 때는 무엇보다 그릇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핀란드는 필요한 것을 스스로 집어넣게 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는 양극단인 듯 보이는 북유럽 교육시스템은 ‘특별한 복지국가’여서 가능하다고 생각되지만 북유럽 국가들 역시 오랜 세월 개혁을 통해 이뤄낸 것이다.


    안 연구원은 사회민주주의 운동이 19세기 중반 시작된 후 20세기 초반 사민당이 첫 집권한 이후 주변 국가인 덴마크, 스웨덴이 이 모델을 따라가며 북유럽 모델이 탄생했다고 설명하며 스웨덴 복지국가의 핵심은 ‘보편적 복지’에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차상위 계층은 복지 혜택주고, 잘 사는 사람은 안 줍니다. 무료급식도 못 사는 아이라는 걸 스스로 증명해야만 줍니다. 스웨덴은 잘 사는 아이든 못 사는 아이든 똑같이 무료 급식을 줍니다. 복지혜택을 같이 주는 것이죠.”


    하지만 개인의 자유는 미국보다도 더 중시한다는 것이 안 연구원의 생각이다. “심지어 인종차별을 노골적으로 하는 나치 정당까지도 인정할 정도다. 하지만 미국과는 다른 게 개인 자유의 가장 큰 기반은 기회의 평등이라는 데 합의한다는 거다. 삶의 기본조건이 평등해야만 진정한 자유다. 평등과 형평성을 중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안 연구원은 스웨덴식 교육시스템을 받아들인 핀란드의 과정에서 한국의 가능성을 엿본다. 그는 “핀란드도 60년대부터 법령을 정비하고 70년대부터 교육을 개혁해 현재의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다. 우리도 뜻을 세운다면 교육 개혁을 더 빠른 시간 내에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제주의소리


    북유럽 복지국가의 교육 정책 목표는 “모든 학생들이 어떤 차별도 없이 모든 학교에서 질 높은 교육을 받는 것”이다. 이 정책적 결과는 핀란드가 ‘학생간 편차가 가장 낮은 나라’라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


    안 연구원은 “공부에서 뒤처지는 학생을 위해 개인별 학습계획을 세워 자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들이 20%다. 또 만 6세부터는 완전한 무상교육이 시작되는 데 이 때의 교육은 부모의 영향으로 아이들마다 학습 능력이 차이가 있는데 이를 고르게 해주는 것이 유아 교육이다. 본격적인 학교에 들어가기 전 출발점을 평등하게 만들기 위한 제도다.”라고 설명한다.


    특히 안 연구원은 우리나라 아이들에게 “천천히 공부할 권리를 인정하라”고 당부한다. 그는 “1월생과 12월생을 똑같이 3학년이라 한다. 하지만 당연히 학습 능력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우리는 45분만에 문제를 풀라고 한다. 노골적으로 정해진 조건 내에 몇 문제 푸는 지를 평가한다. 이는 발달을 위한 평가가 아니다. 북유럽에서는 아이가 45분을 넘어도 10분을 더 풀어도 괜찮다. 선생님이 ‘아, 이 아이가 이걸 어려워하는 구나’하고 알면 된느 것이다. 선생님이 이 아이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면 된다. 아이들을 위축시키거나 너무 우쭐대게 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스웨덴은 일하지 않는 나라다. 삶의 목적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은 7시 출근하면 3시 퇴근하하고 9시 출근하면 5시 퇴근한다는 것은 유명하다. 일은 조금만 하면서도 잘 사는 이유가 뭘까. 이들에 비하면 워커홀릭에 가까운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을 많이 해야 잘 산다고 생각하기에 당연히 갖게 되는 의문이다.


    안 연구원은 이를 ‘컨퍼런스 문화’에서 찾는다. “스웨덴에서는 빙 둘러앉도록 한 책상과 의자가 많다. 무엇을 하든 혼자 생각하고 일하는 게 아니라 모여서 함께 한다. 함께 생각하고 토론하고 일하는 애들과 혼자 일하는 애들이 경쟁이 되겠나. 이렇게 모여 얘기하면서 좋은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셋이 함께 하니까 적게 일해도 되고. 세배를 한 사람이 일하는 우리나라와는 거의 아홉배의 차이다.”


    북유럽에서는 장학사를 찾아볼 수 없다. 대신 학교의 교장이 장학사 역할을 맡아하며 교사들의 책임도가 크다. 특히 안 연구원은 “부모-학생-선생님이 함께 협의하는 것이 제도화 돼 있다. 아이가 이번 학기에 무엇을 중점적으로 공부할 것인지 스스로 정하면 삼자가 모여 선생님과 부모님이 의견을 덧붙인다. 그리고 협약증서를 작성한다. 한 학기 보내면 평가모임을 갖는다. 학생이 자기 학습에 책임을 져야 한다. 교사에게 책임을 묻는 한국과 달리 아이들에게 책임감을 주는 것이다.”라고 전했다.


    물론 이를 위해 북유럽에서는 많은 예산을 사람에 투자한다. 하지만 안 연구원은 “사람에 돈을 쓰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는 생각이다. 이를 위해서는 ‘통 큰 기획’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인간다운 사회를 만들겠다는 복지국가적 기획이 필요하다. 학교 공간 자체도 획기적으로 바꿔야 한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학교를 커뮤니티 센터로 만들어 노인정, 회사, 보육시설도 들어올 수 있도록 만들고 잇다. 교사들을 끊임없이 지원, 격려해야 한다. 정부에만 맡겨서는 안된다. 풀뿌리에서부터 해야 한다. 학원이 아닌 도서관 보내기를 먼저 실천해야 한다. 풀뿌리 교육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 <제주의소리>